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한밭대학교

HIGHHANBAT

한밭People

게시물 검색
인문사회융합인재양성사업(HUSS)연구소, 글로벌 인재 양성 성과 입증... 이미지
인문사회융합인재양성사업(HUSS)연구소, 글로벌 인재 양성 성과 입증...
  • 작성자기획과
  • 조회수276
  • - 지난 8월 졸업한 공공행정학과 이명희 동문, 영국 서식스대 경영대학원 석사 과정 진학- 체계적 융합 교육과 국제 교류 프로그램의 우수성 입증□ 우리 대학 위험사회 컨소시엄 인문사회융합인재양성사업연구소(이하 HUSS연구소)는 본 사업 프로그램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공공행정학과 이명희 졸업생이 영국 서식스대학교(University of Sussex) 경영대학원 석사 과정(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MSc)에 합격했다고 2일 밝혔다.○ 특히 입학과 동시에 Chancellors International Scholarship 장학생으로 선발되며, 그동안 HUSS연구소가 제공해 온 체계적인 융합 교육과 국제적 프로그램의 우수성을 입증한 성과로 주목받고 있다.○ 지난 8월 졸업한 이명희 동문은 HUSS연구소가 개발한 디지털사회 법․정책, 사회적 가치와 공공윤리 교과목을 수강하며 전공 지식을 확장했고, 연계 기업에서의 표준현장실습학기제를 통해 AI 실무 활용 능력을 키웠으며, 캐나다 현지에서 진행된 Global Communication Program in Canada(2024)에 참여해 자기주도적 기업가정신과 비즈니스 어학 능력을 함양하여 국제적 소통 경험을 쌓았다.□ 이 씨는, HUSS연구소에서 수강한 교과목과 해외 프로그램이 법, 정책, 행정이라는 전공 지식을 넘어 공공윤리와 국제사회와의 연결이라는 폭넓은 시야를 갖게 해주었다며, 앞으로 과학기술정책과 정책혁신 분야의 연구자로 성장해 윤리의식과 사명감을 갖춘 글로벌 인문사회 리더가 되고 싶다고 포부를 밝혔다.□ 국립한밭대 권기석 HUSS연구소 소장은 교과과정, 현장실습, 비교과 프로그램의 유기적 결합을 통해 학생들이 세계무대에 도전하는 것은 사업의 성과이자 의미 있는 발걸음이라며, 앞으로도 학생들의 학문적․국제적 성장을 위한 지원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HUSS연구소는 앞으로도 사회 구성원 간 디지털 장벽과 정보격차 등 초연결 사회에서 발생하는 스마트블랙 문제의 해결을 목표로 융합 교육과정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프로그램을 확대해 글로벌 사회가 요구하는 미래 인재 양성에 앞장설 계획이다.
  • 등록일2025-09-02 20:32:36
토목공학과 고채연 박사과정, 원자력 국제학술대회 ‘SMiRT28’에서 IASMiRT 대학원생 장학생 선정 이미지
토목공학과 고채연 박사과정, 원자력 국제학술대회 ‘SMiRT28’에서 IASMiRT 대학원생 장학생 선정
  • 작성자기획과
  • 조회수283
  • □ 우리 대학 토목공학과 고채연 박사과정생(지도교수 곽신영)이 지난 8월 중순 캐나다 토론토 웨스틴 하버 캐슬에서 열린 SMiRT28(International Conference on Structural Mechanics In Reactor Technology)에서 IASMiRT(International Association of SMiRT) 대학원생 장학생으로 선정됐다고 전했다.○ SMiRT는 1971년부터 2년마다 개최되는 세계 최고 권위의 국제 학술대회로 원자력 구조공학 분야의 학술 및 기술 교류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특히 원자력 기술 분야의 리더, 관리자, 엔지니어, 기관 및 학계 연구자 등이 모여 관련 지식을 공유하며 더 높은 원자로 성능 달성에 기여하고 있다.○ 이번 SMiRT28은 캐나다의 원자력 에너지 수도인 토론토에서 2050년까지 탄소 중립을 향한 길로서 원자력 기술과 혁신을 활용하는 방안을 주제로 열렸다.○ 또한, 캐나다가 추진 중인 발전용 원자로에서의 동위원소 생산, 해체 프로젝트, 원자력 산업에서의 혁신 기술 활용, SMR(Small Modular Reactor) 기술의 안전과 보안을 강화하는 방법 등을 공유하는 장이 마련됐다.□ 고채연 박사과정은 이번 대회에서 On a Comparative Analysis of Seismic Fragilities of TMD Applied-Nuclear Cabinets by Design Method라는 주제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본 연구는 원자력 발전소 전기 캐비닛의 지진응답 저감을 위한 동조질량감쇠기(TMD) 적용 연구를 확장하여, 지진취약도 기반 내진설계 방법의 기초를 제공하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가진다.□ 건설환경공학과 곽신영 지도교수는 저명한 국제학회에서 본인의 역량을 잘 보여준 고채연 대학원생의 수상을 진심으로 축하하며,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차후 연구가 가동 원전 안전성 향상 분야에서 우수한 학술적 성과와 실제 상용화로 이루어지도록 함께 노력하겠다고 향후 계획을 전했다.□ 본 연구는 국립한밭대학교, 한국원자력연구원, 경북대학교 연구팀의 협력 연구로 수행됐으며,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았다(No. RS-2022-00144328/RS-2024-00404119).
  • 등록일2025-09-02 19:25:40
화학생명공학과 손수빈 학생, ‘제6회 KWSE 국제융합학술대회 BIEN 2025’ 최우수 포스터상 수상 이미지
화학생명공학과 손수빈 학생, ‘제6회 KWSE 국제융합학술대회 BIEN 2025’ 최우수 포스터상 수상
  • 작성자기획과
  • 조회수387
  • 사진설명: 국립한밭대학교 화학생명공학과 손수빈 학생(왼쪽)과 김정철 교수□ 우리 대학 화학생명공학과 손수빈 학생(지도교수 김정철)이 지난 8월 20일부터 22일까지 대전 호텔 ICC에서 개최된 제6회 KWSE 국제융합학술대회 BIEN 2025에서 최우수 포스터상(Best Poster Award)을 수상했다.○ 대한여성과학기술인회(KWSE)가 주관한 올해 학술대회는 국경 없는 과학기술을 주제로 열렸으며, 약 25개국 600여 명의 여성과학기술인들이 참여해 최신 연구 성과를 공유했다.□ 국립한밭대 손수빈 학생은 이번 대회에서 Fischer-Tropsch synthesis over Co/zeolite beta nanosponge catalysts for branched hydrocarbons in the gasoline range를 주제로 한 포스터 발표로 연구의 혁신성과 발전 가능성을 인정받아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연구팀은 본 연구에서 3차원으로 연결된 메조다공성 제올라이트 구조체에 코발트 나노입자를 담지한 나노촉매 복합체를 성공적으로 제조했다.○ 이를 피셔-트롭쉬 합성 반응에 적용한 결과, 높은 화학 반응성과 긴 촉매 수명, 그리고 우수한 가솔린 및 지속가능항공유 선택도를 보였다.□ 김정철 지도교수는 이번 연구 성과는 에너지 및 석유화학 공정의 실용화와 확산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 등록일2025-09-02 13:46:16
창의융합학과 장현준 석사과정, IMID 2025 국제학술대회 ‘현장우수포스터상’ 수상 이미지
창의융합학과 장현준 석사과정, IMID 2025 국제학술대회 ‘현장우수포스터상’ 수상
  • 작성자기획과
  • 조회수342
  • -친환경 소재 활용한 차세대 OLED 효율 향상 기술로 학계와 산업계 이목□ 우리 대학 창의융합학과 장현준 대학원생이 제25회 국제 정보디스플레이 학술대회(The 25th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IMID 2025)에서 현장우수포스터상을 수상했다.○ IMID는 매년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KIDS)와 미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SID)가 주관하는 세계 최고 권위의 정보디스플레이 분야 전문 학술 행사로, 현장우수포스터상은 발표된 많은 포스터 논문 중 학술적 가치와 독창성이 뛰어난 연구를 현장에서 직접 심사하여 수여하는 의미 있는 상이다.○ 장현준 석사과정은 이번 대회에서 셀룰로오스 및 폴리페논 60 기반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효율 향상을 위한 광추출 템플릿이라는 연구논문을 발표했다.○ 연구의 핵심은 기존 OLED 광특성 향상 필름에 사용되던 석유 기반 소재를 친환경 소재인 셀룰로오스(Cellulose)와 폴리페논 60(Polyphenon 60)으로 대체한 것이다.○ 두 친환경 소재의 조성 비율에 따라 필름 표면에 형성되는 마이크로 구조체의 크기가 달라지는 현상을 발견했으며, 수많은 실험을 통해 OLED의 광효율을 최적화할 수 있는 최상의 조성비를 규명했다.○ 해당 연구는 현재 디스플레이 시장의 주력 기술인 OLED의 효율을 한 단계 끌어올리는 동시에, 지속 가능한 친환경 전자기기 차세대 기술 개발을 선도할 중요한 연구 성과로 평가받으며 학계와 산업계의 큰 주목을 받았다.○ 창의융합학과 이종희 지도교수는 장현준 학생이 평소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던 친환경 유연전자소자 개발 분야에서 성실하고 주도적인 자세로 연구에 매진하여 얻어낸 자랑스러운 결과라며 수상을 진심으로 축하하고, 앞으로도 우리 사회에 기여하는 훌륭한 연구자로 성장해나가기를 응원한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NRF)의 하이브리드 3D프린팅을 이용한 액티브 인쇄전자 시스템(RS-2018-NR031073)과 생분해성 소재 기반 생체 적합형 피부 부착 다기능 스마트기기 구현 및 특성 연구(RS-2022-NR0169152) 과제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 등록일2025-09-01 18:14:16
창의융합학과 이재현 교수, ‘제25회 국제정보디스플레이 대상’ 기초원천기술부문 대상 수상 이미지
창의융합학과 이재현 교수, ‘제25회 국제정보디스플레이 대상’ 기초원천기술부문 대상 수상
  • 작성자기획과
  • 조회수459
  • - 디스플레이 분야 기초원천기술 발전 기여도 평가에서 우수 성과로 영예의 대상□ 우리 대학은 지난 21일 창의융합학과 이재현 교수가 제25회 국제정보디스플레이 대상 기초원천기술부문 대상에 선정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이 상은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에서 발간하는 국제학술지 Journal of Information Display의 2024년도 발표 논문들을 대상으로, 학회 포상위원회에서 디스플레이 분야의 기초원천기술 발전 기여도를 평가하여 선정했다.□ 이재현 교수 연구팀은 Analysis of interfacial charges in aged co-host emitting xss-layer of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using impedance spectroscopy라는 주제로 연구를 진행했다.○ 이는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의 열화에 따른 전기적 특성 변화를 임피던스 분석 기술로 연구한 것으로, 유기물 분자의 자발 배향 분극 현상의 변화를 분석하여 OLED 디스플레이의 구동 및 열화 메커니즘 원천기술 분석 발전에 기여했다.○ 본 연구 논문의 제1저자인 부소영 학생 등 연구팀은 OLED 소자의 각 층을 저항과 커패시터로 해석할 수 있는 임피던스 분광법(Impedance Spectroscopy, IS)을 활용해 OLED의 수명 저하 원인을 전하의 축적과 이동 특성에서 정밀하게 분석했다.○ 분석 결과, 초기 소자에서는 음의 계면전하(NIC) 효과 덕분에 정공 주입과 전자 주입이 원활히 이루어졌지만, 사용 시간이 지난 소자에서는 전자수송층의 열화로 인해 NIC 효과가 사라지면서 전자 주입이 지연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IS 측정에서 이를 뒷받침하여, 노화된 소자는 커패시턴스-전압(C-V) 특성의 증가 전압이 상승하고, 저주파 영역에서의 커패시턴스 값이 감소해 전하 축적이 줄어든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이러한 결과가 OLED 성능 저하의 전기적 근거를 제공하며, 앞으로 장수명고효율 디스플레이 개발을 위한 핵심 데이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는 산업통상자원부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으며, 이재현 교수 연구실은 유기물 반도체 소재 및 소자의 전기적광학적 기초 물성 연구를 중점적으로 수행하여, 자기장 내에서의 전기발광(EL) 및 광발광(PL) 특성 분석, 분광전기화학 분석법을 활용한 폴라론 상태의 유기물 단분자 안정성 분석 등을 함께 연구하고 있다.
  • 등록일2025-08-27 15:11:22
창의융합학과 성백상 박사과정생, IMID 2025 국제학술대회 KIDS Awards 금상 수상 이미지
창의융합학과 성백상 박사과정생, IMID 2025 국제학술대회 KIDS Awards 금상 수상
  • 작성자기획과
  • 조회수218
  • □ 우리 대학 창의융합학과 성백상 박사과정생이 제25회 국제정보디스플레이 학술대회(The 25th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IMID 2025)에서 KIDS Awards 금상(Sponsored by Samsung Display)을 수상했다고 26일 밝혔다.○ IMID 국제학술대회는 매년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KIDS) 및 미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SID) 주관으로 열리는 세계 2대 정보디스플레이 관련 전문 학술 행사로, 올해 2025년 행사의 경우 2,700여 명이 참가했다.○ 본 상은, IMID 2025 국제학술대회 중 구두 발표된 논문들을 대상으로 연구 성과의 학술적 가치를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포상위원회의 별도 평가를 거쳐 선정했다.○ KIDS Awards 금상을 수상한 성백상 박사과정생은 Durable and Stretchable Skin-Like Strain sensor with UV Protection and Antibacterial Functionality라는 연구 논문을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피부 부착형 스트레쳐블 스트레인 센서 기술과 관련한 내용으로, 기존 스트레쳐블 스트레인 센서가 피부에 부착 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점을 친환경 소재인 타닉산(Tannic acid)과 셀룰로오스(Cellulose) 조성 최적화를 통해 극복했다.○ 추가된 첨가제인 타닉산의 경우, 피부 부착 시 발생할 수 있는 땀 등의 수분 저항성과 세균 방지 특성을 증가시키고, 외부 자외선에 대한 저항성 역시 크게 향상시켰다.○ 또한, 타닉산과 셀룰로오스 사이의 수소 결합 증가를 통해 스트레쳐블 스트레인 센서의 기계적 특성인 반복 동작 안정성을 크게 높였다.○ 성 씨의 이번 연구는 차세대 웨어러블 전자기기 분야의 기술 선도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됐으며, 특히 연구계 및 산업계의 많은 관심을 받았다.○ 창의융합학과 이종희 지도교수는 성백상 박사과정생이 석/박사 학위 기간 동안 해당 분야의 문제들을 깊이 고찰하고 해결하기 위해 적극적이고 성실하게 연구에 매진한 성과로, 수상을 다시 한 번 축하하며 앞으로 독립된 연구자로서 성장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NRF)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RS-2018-NR031073;하이브리드 3D프린팅을 이용한 액티브 인쇄전자 시스템, RS-2022-NR0169152; 생분해성 소재 기반 생체 적합형 피부 부착 다기능 스마트기기 구현 및 특성 연구)
  • 등록일2025-08-26 15:02:38
융합경영학과 전형진 학생, ‘2025 대전지역 활성화 트래블런 창업캠프’ 대상 수상 이미지
융합경영학과 전형진 학생, ‘2025 대전지역 활성화 트래블런 창업캠프’ 대상 수상
  • 작성자기획과
  • 조회수552
  • - 성심당 빵조각 활용 제로웨이스트 수제 맥주 제작 아이디어로 호평□ 우리 대학 인문사회융합인재양성사업(HUSS)연구소는 지난 6일부터 7일까지, 1박 2일 동안 진행된 2025 대전지역 활성화 트래블런 창업캠프에서 HUSS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융합경영학과 전형진 학생이 대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이번 캠프는 충남대 HUSS사업단이 주관하고 문화체육관광부와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대전관광공사 등이 함께한 실전 관광 창업 교육 프로그램으로, 참가 학생들은 지난 7월 말부터 약 2주간 관광창업 교육과 팀 프로젝트를 수행한 뒤 지난 7일 최종 발표를 진행했다.□ 융합경영학과 전형진 학생은 충남대 학생 2명과 함께 팀을 구성해 대전의 대표적인 관광 명소인 성심당에서 나오는 버려진 빵조각을 활용한 제로웨이스트 수제 맥주 제작 아이디어를 제안했다.○ 이는 지역 자원의 지속가능한 활용과 관광 콘텐츠의 혁신적 결합이라는 점에서 심사위원들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았다.○ 전형진 학생은 성심당이라는 대전의 상징성과 환경적 가치를 연결해 지역만의 매력적인 관광 상품을 만들고자 충남대학교 팀원들과 함께 1박 2일 동안 밤을 새어도 피곤하지 않을 만큼 열정을 쏟아부었다며 창업 아이디어에 그치지 않고 지역 사회와 환경에 기여하는 창업을 꼭 실현해보고 싶다고 소감을 밝혔다.□ 전형진 학생은 국립한밭대 HUSS 프로그램에도 지속적으로 참여해 온 모범적인 우수학생으로, 올해 전주에서 개최된 2024년 HUSS 지산학 리더십 아카데미에서도 최우수상을 수상하며 리더십과 창의성을 인정받은 바 있다.□ 국립한밭대 HUSS연구소 권기석 단장은 우리 학생이 타 대학 사업단에서 개최한 행사에 혼자 참여하여 많은 독려를 해주었는데 좋은 성과로 이어졌다며, 우리 HUSS연구소의 여러 가지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이 앞으로도 더 좋은 기회의 장에서 이름을 알릴 수 있도록 물심양면으로 돕겠다고 말했다.
  • 등록일2025-08-11 09:45:21
창의융합학과 성백상·이주호 대학원생, OPC 2025 구두발표 우수논문상 수상 이미지
창의융합학과 성백상·이주호 대학원생, OPC 2025 구두발표 우수논문상 수상
  • 작성자기획과
  • 조회수935
  • 사진설명: 국립한밭대학교 창의융합학과 성백상 박사과정생(왼쪽)과 이주호 석사과정생□ 우리 대학은 창의융합학과 성백상 박사과정생과 이주호 석사과정생이 지난 6일부터 9일까지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 한국광학회 주최 Optics and Photonics Congress 2025 (OPC 2025)에서 각각 우수논문상을 수상했다고 16일 밝혔다.○ 먼저 성백상 박사과정생은 천연 첨가제를 도입한 친환경 고분자 기반 OLED 특성 향상 필름 개발'을 주제로, 천연 유래 첨가제를 도입한 셀룰로오스 기반의 친환경 광특성 향상 필름을 제작하고, 도입된 친환경 첨가제 종류에 따라 30% 이상의 광효율 개선 및 자외선 차단 특성이 부여된 OLED 결과를 발표했다.○ 이주호 석사과정생은 고종횡비 렌즈를 이용한 마이크로디스플레이용 컬러필터 상부 발광 WOLED의 효율 개선'이라는 연구 주제로, 최근 각광받는 OLED 기반의 마이크로디스플레이(OLEDos)의 효율 개선을 위해 고종횡비 렌즈를 유기 발광 다이오드 봉지층 외부에 부착하여 다양한 파장에서의 휘도 향상 및 전방 방사 강화 특성 결과를 발표했다.○ 해당 연구는 국립한밭대 창의융합학과 이종희 교수 연구 그룹과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초실감메타버스연구소 실감디스플레이연구실의 공동연구로 진행됐다.○ 이번 대회에서 두 대학원생의 발표는 현재 전 세계 디스플레이 시장을 선도하는 유기전기발광소자(OLED)의 차세대 핵심 요소 기술과 관련하여 미래 디스플레이 기술 선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받으며 많은 관심을 받았다.□ 창의융합학과 이종희 지도교수는 이번 성과는 참여한 대학원생들 모두의 적극적이고 자발적인 연구 참여와 협업, 그리고 특히 위촉연구생 프로그램을 통해 성실히 공동연구 지도를 함께 해준 ETRI 조현수 박사(이주호 학생 지도)의 열정 덕분이다라고 전했다.○ 한편, 이번 연구들은 한국연구재단(NRF)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RS-2018- NR031073; 하이브리드 3D프린팅을 이용한 액티브 인쇄전자 시스템, RS-2022-NR0169152; 생분해성 소재 기반 생체 적합형 피부 부착 다기능 스마트기기 구현 및 특성 연구, RS-2024-00408286; 초고해상도 메타표면을 이용한 고색순도 모노리식 메타 OLEDoS 원천 기술 개발)
  • 등록일2025-07-16 10:31:05